
업무를 하면서 프로비저닝에 대해 많이 접하지만, 개념이 잘 잡히지 않아 블로그에 정리해둔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티스토리로 정착하게 되면서 해당 내용도 옮겨 기록하고자 합니다. 프로비저닝은 단순 정의를 읽는 것보다는 어디에서 사용되는지를 파악하고 그 종류에 따른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저에게는 더 도움이 되어 프로비저닝의 종류를 중심으로 기록했습니다. 물론, 블로그를 참고하여 작성한 내용이기 때문에 해당 블로그를 링크하였지만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이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을 말한다. 프로비저닝의 종류 서버 자원 프로비저닝(Server Resource Pr..

이건 사실 ERROR 라고 하기보다는 방법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가끔씩 안될 때가 있는데, 이클립스를 껐다키거나 이클립스 창을 열었다가 닫았을 때 동작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렇게 해도 되지 않아 stackoverflow에 검색했는데 해당 방법이 마음에 들어 기록하고자 합니다. 검색하여 얻은 방법이라 검색하면 찾을 수 있지만, 블로그에 글 한 번 쓰고 나면, 이유도 알게 되는 것 같고 익숙해지는 느낌이고 쉽게 찾고자 기록하고자 합니다. 간단한 방법 여러 프로젝트들을 모듈로서 import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동작할 때도 있고, 동작하지 않을 때도 있는 경우에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ctrl+shift+t 클래스명 검색 ctrl+click 동작..

최대한 준비를 하고 시작한 것 같은데도, 끊이지 않는 빨간 줄.. import를 잘못한 것인지, dependency가 빠졌는지, 놓친 것이 있는지, 버전이 바뀌었는지 열심히 찾고 찾다가 결국 editor의 pakage 문제였습니다. 에러를 평소에 달고 사는 것 같았지만, 에러 해결 외에도 다른 것에서 공부하고 싶은데 여기에 쏟는 시간이 상당한 느낌입니다. lombok @RequiredArgsConstructor 이 애노테이션은 필드에 대한 생성자를 생성해줍니다. 즉, final과 @NotNull이 지정된 초기화되지 않은 모든 필드들에 대한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Variable '' might not have been initialized 그럼에도 발생하는 초기화를 하라는 빨간 줄.. 분명히 @..

Windows 10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제가 Windows10을 사용하고 있어 이렇게 표시해보았습니다. Postgresql의 DB를 만들기 위해 설치 중에 다른 컴퓨터에서는 잘 설치가 되는데, 제 컴퓨터에서는 오류가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다른 링크의 설치 파일을 다운 받으니 해결되어 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Postgresql 설치오류 설치를 시도할 때 나타난 에러는 'There has been an error.'입니다. 다른 프로그램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나타난다고 하는데, 저는 포맷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의문입니다. 어쨌든 이 에러가 나타나서 시도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른 버전 설치 처음에는 버전이 잘못되었나 하는, 무지에 오는 고민에 다른..

java 버전을 기존에 1.8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11로 올려야 할 필요가 있어서 설치하면서 버전이 확인이 안되는 현상이 나타나서 기록하고자 합니다. java 설치 오류 제가 겪은 현상은 아래와 같이 설치 후에 version이 확인이 안되는 것이었습니다. (사진은 재현한 것입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확인이 잘 안되어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보았지만 실패했습니다. 환경변수 설정 삭제 후 재설치 java 설치 경로에서 삭제 후 재설치 제가 성공한 방법은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java 모두 삭제 후 재설치였습니다. 처음부터 여기서 삭제하고 재설치했더라면 이렇게 글 쓸 일도 없었겠지요.. 해결방법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제어판> 프로그램>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게시자로 정렬해줍니다. 그때 Oracle C..

DBCP란? 운영 중에 에러로그로 식별할 수 없는 이슈인 out of memory가 발생하거나, DB서버에서부터 발생한 장애로 서버가 뻗는 경우는 대부분 WAS와 DB 서버 간의 이슈 즉, DBCP와 관련된 이슈입니다. 운영 중인 서버에서 DBCP와 관련된 설정 때문에 오류가 나는 것을 보았고, 이에 대해 정리해두고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기록합니다. DBCP를 사용하는 이유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얻어올 때 가장 비용이 큰 부분은, 서버가 물리적으로 DB 서버에 최초로 연결되어 Connection을 생성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DBCP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DBCP의 정의 DBCP는 DataBase Connection Pool의 약자이며,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효율..

컴포넌트와 모듈의 차이 Angular로 TickTock을 만들면서, 어떻게 보면 아주 기본적인 개념인 '컴포넌트(Component)'와 '모듈(Module)'의 차이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기본부터 찬찬히 다잡고 나가자는 마음으로 앵귤러 내에서의 컴포넌트와 모듈의 차이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컴포넌트란? Angular 내에서 컴포넌트는 화면을 구성하는 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컴포넌트는 하나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분할된 컴포넌트를 조립할 수 있도록 앱을 구성하면, 재사용과 유지보수에 좋기 때문입니다. Angular는 컴포넌트 기반의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각 컴포넌트에는 '부모-자식' 관계가..

TickTock 프로젝트 처음 앵귤러로 만들어본 프로젝트에서 기록해두면 좋을 것들, 한 번 더 공부하고 가면 좋을 것들을 기록해두고자 합니다. 먼저, 이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거창하고 Angular(2+) Front에서 Back까지 - 앵귤러 기본이라는 강의를 보며 실습하고, 복습하면서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특징 정리 기능이라고 할 것은 없고, 이 프로젝트의 특징과 제가 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홈화면, 스톱워치, 시계로 구성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만들었으며, 관련된 코드는 제 Github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탑워치와 시계를 만드는 페이지를 만들며 앵귤러 강의 수강 Bootstrap을 적용하여 화면 정리(다음에는 Angular material 활용예정) Home ..